본문 바로가기
일상

국민은행 청년희망적금 만기해지 후기(만기금액,이율,만기후투자계획 등)

by 면지 2024. 2. 25.
반응형

안녕하세요, 면지입니다 :-) 드디어~~ 기다리던 '청년희망적금'이 만기가 되었어요.

개설할 때는 2년이 되게 길게 느껴졌는데, 시간이 참 빠르네요. 저는 당시에 이율이 제일 괜찮았던 국민은행으로 개설했었구요.

개설 당시에 매월 50만원 최대 금액으로 설정하고, 월급날 자동이체를 걸어둬서 애초에 월급이 들어오면 희망적금 금액부터 나가도록 했었어요.

그 덕분에 다행히 미납된 금액 없이, 50만원X24개월=원금 1,200만원을 모았구요. 이제 궁금했던 이자를 확인해 볼 시간인데요.

만기일이 지나서 그냥 두면 이자가 적게 붙기 때문에, 만기일 12시가 땡 하자마자 직접 해지하기로 했어요. 해지예상일자에 '만기일'을 입력하고 '조회'를 눌러주세요.

최종금액은 원금 1200만원+이자 726,667원(비과세)+저축장려금 360,000원으로, 총13,086,667원이네요.

같은 국민은행에 50만원씩 넣는 것도 동일한데, 이자가 저보다 몇만원 더 많은신 분들도 있더라고요. 보니까 자동이체를 1일자로 해서 이자가 그만큼 더 붙었던 거더라구요. 미리 안바꿔놓은 내 자신 왜그랬을까... 

 보통 적금이 과세인걸 고려해서 네이버 이자 계산기에 몇 퍼 정도의 적금과 동일할까 조회를 해봤는데요.

청년희망적금의 경우, 2년+일반과세+매월50만원씩 같은 조건의 적금인 경우 약10%의 이율이더라구요.

만약 만기일인 24.2.25일이 아니라, 그 다음날인 24.2.26일날 해지할 경우 소득세가 붙는걸 확인할 수 있어요. 저는 그래서 만기일에 바로 해지하는건 마음을 정했기 때문에, 어플을 통해 해지했어요.

유의사항을 확인해보니, 개설시 어플로 한 경우만 해지가 어플로 가능하고, 개설을 지점에서 한 경우, 해지도 지점에서 가능하다고 하더라구요.

그래서 쉽게 해지가 되나 했는데..!

장기 미사용으로 이체제한이 걸려 있었고, 이걸 풀어주고 나서야 해지가 가능했어요.

금융인증서가 있는 상태여서, SMS인증번호만 입력하고 바로 해지할 수 있었어요 :)

해지하고 국민은행 입출금통장에 바로 입금이 되었어요. 입금이 되고나니,, 이걸 다시 예금으로 묶어둘지, 아니면 주식을 살지 확신이 안서더라구요.

그래서 우선은  CMA통장에 넣어두기로 했어요. 문제는 국민은행 1회 이체한도가 300만원이었고, 우리은행 오픈뱅킹을 통해 이체하니 그것 또한 1회에 1천만원이더라구요. 두번에 나눠서 빼야할 거 같아요;;ㅎ

13,086,667원 전체를 한국투자증권 발행어음 CMA통장에 넣으면, 이율 3.4%로 계산했을 때 하루 이자가 약1,219원정도 되더라구요.

 

청년도약계좌로 연계하는건 저는 조건이 안되기도 하구요. 조만간 예금 하나가 더 만기될 예정이기 때문에, 예금으로 같이 다시 묶어둘지 고민을 더 해보도록 할게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