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키움증권 연금저축펀드 개설하는 방법

by 면지 2021. 6. 3.
반응형

안녕하세요. 면지입니다~~ㅎㅎ 오늘은 계속 해야겠다고 미리 생각해두었던 '연금저축펀드'를 드디어 개설해봤습니다. 연금저축의 종류에는 은행에서 개설가능했으나 현재는 불가능한 연금저축신탁, 보험사에서 개설 가능한 연금저축보험, 그리고 증권사에서 개설 가능한 연금저축펀드 총 3가지가 있습니다.

저도 전혀 몰랐다가 유튜브로 재테크 공부좀 해보려고 이것저것 찾아보다가 알게 되었구요. 세액공제 혜택을 받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인 계좌입니다. 저는 기존에 키움증권에서 소소하게 주식을 매매했던 이력이 있어서 연금저축펀드도 키움증권에서 개설했어요.

연금저축펀드를 만드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키움증권 어플을 켜구요.  AI자산관리-금융상품-연금계좌등록을 찾아서 눌러주세요. 가입 과정은 정말정말 쉽더라구요 ㅎㅎ 저는 연금저축펀드계좌가 전혀 없어서 신규가입인데 기존에 계좌가 있는데 옮기고 싶으신 분들은 '연금 이전/대체'를 체크해주세요. 기존에 증권 계좌의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조회'를 눌러주세요.

연금ETF 및 연금 펀드 거래가 가능하다고 하네요. 바로 '연금계좌 개설 및 등록 진행'을 눌러줍니다~~ ㅎㅎ 출금시 기타소득세 발생할 수 있으니 유의하셔야 해요. 저도 정확히는 모르지만, 중도인출시 세액공제 받은걸 토해내야하고 세금도 많이 붙기 때문에, 한 번 가입하면 해지하지 않고 꾸준히 부을 생각으로 넣는게 좋다고 하더라구요.

총 한도는 1,800만원이구요. 그 안에서 연간 납입한도를 제가 정할 수 있어요. 연간 납입한도와 납입기간은 추후에도 홈페이지에서 변경 가능하다고 해서 부담없이 입력했어요. 1년에 1,800만원 다 넣을 수 없지만(상황상), 그래도 한도는 1800만원으로 해놨어요 ㅎㅎ 납입기간은 최소 5년부터 최대 90세까지라고 합니다. 전 1995년생인데, 연금수령일은 최소 만 55세부터 가능하기 때문에 2050년 생일로 설정돼 있네요.

그 다음엔 연금저축계좌에서 인출시 출금으로 이어질 계좌에요. 전 키움증권밖에 설정이 안되더라구요..?! 우리은행 계좌로 설정하고 싶었는데 안돼서 쿨하게 키움증권 계좌로 설정했습니다 ㅎㅎㅎ 수익률보고서 등은 핸드폰과 이메일로 받는걸로 선택했구요.

마지막으로 설명서 등에 확인했음에 동의하고, 눌러주면 개설은 끝입니다! 개설은 증권계좌만 있으면 정말정말 쉬운데, 연금저축펀드의 경우 장기적으로 붓는만큼 개인적인 운용이 중요하다고 해요. 돈을 계좌에 넣으면 세액공제를 받는 것은 입금한 금액에 대해서라고 하네요. 400만원 입금시 66만원(소득조건있음)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고, 입금한 금액을 ETF를 사는 등 본인이 상품을 사서 돈을 굴리면 됩니다! 이에 대해서 끊임없이 공부해야겠쥬?.. ㅎㅎ

개설 후, 재로그인을 하라고 나와서 바로 로그인을 해봤어요. 잔고에 들어가니 계좌가 한 개 더 생긴 모습이에요 ㅎㅎ 아직은 어떤 상품을 운용할지 결정은 못했지만, 한 달에 무리하지 않고 적금 15만원 줄이고 연금저축 15만원씩 넣을 생각이에요. 15만원씩 12달 넣으면 180만원이구요. 400만원 기준 66만원 세액공제를 연말정산 때 받을 수 있다고 가정했을 때 비례하여 계산해보니 약 30만원정도 1년에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네요. 아직은 사회초년생이다보니(1년도 안됌..) 일년에 400만원을 채우기 위해 30만원이 넘는 금액을 넣기가 부담이 되더라구요 ㅜ 암튼! ㅎㅎ 이렇게 쉽게 개설할 수 있으니 여러분들도 따라해보시면 좋을 거 같아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