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 면지입니다. 이제 청년희망적금 만기가 한 달정도 남았는데요. 딱히 어디에 투자해야할지 정한건 없어서 우선 예금으로 묶어둘까 합니다. 청년희망적금 만기금액 관련해서는 아래 포스팅을 참고해주세요 ▼▽
청년희망적금 만기시, 이자까지해서 대략 1,300만원이 생길거 같은데요. 요즘은 세상이 편해져서 네이버에 '예금'이라고만 검색해도 이자 높은 순으로 예적금을 비교를 해주더라구요.
다만 잘 보면, 우대금리를 모두 적용받았을 때의 금리가 빨간색으로 나와있어요. 수협 SH첫만남우대예금은 최고 4.12%이구요. 우리은행도 우리 첫거래우대 정기예금의 경우 최고 4.1%네요.
저축은행도 조회가 가능한데요. 시중은행은 우대금리까지 적용받았을 때 4%대이지만 저축은행의 경우에는 기본 금리가 4.1%~4.2%로 높네요. 5천만원 이하의 금액이라면 저축은행을, 금액이 크거나 불안하다면 금리가 낮더라도 시중은행 예금을 가입하시면 될 거 같아요.
다만, 시중은행 예금의 우대금리 조건을 보면 '첫거래'인 경우가 있는데요. SH첫만남우대예금도 첫거래 조건이 붙더라구요. 저는 저 중에 첫거래 조건이 만족되는 은행이 없어서 예금 기본 금리가 높은 은행으로 찾는게 빠르겠더라구요.
신협은행의 경우 조합마다 '정기예탁금'으로 4.4% 금리의 상품이 있네요. 인터넷을 찾아보니 원하는 지점의 입출금통장이 있어야 정기예탁금을 개설할 수 있다고 하더라구요. 4.4% 금리 기준으로, 청년희망적금 만기시 예상되는 금액인 1,300만원을 예치했을 때 만기 금액도 조회가 되더라구요.
1,300만원을 1년간 예치해뒀을 때 이자소득세를 제외하고, 세후 약483천원의 이자를 받을 수 있네요. 세금이 8만원이 넘는다니 청년희망적금의 비과세 혜택이 꽤 크다는게 체감이 되네요ㅎㅎㅎ...
제가 현재도 다른 목돈을 카카오뱅크 예금에 묶어뒀는데요. 당시 가입할 때도 3.7%였는데, 올해도 금리 조건이 바뀌진 않았네요. 카카오뱅크의 경우에도 신협 정기예탁금처럼 다른 우대금리조건 없이 기본 금리가 3.7%에요.
똑같은 조건으로 1,300만원을 1년 만기 카카오뱅크 정기예금에 들었을 때, 세후 이자가 약406천원이네요. 금리 0.7%의 차이가 세후 이자77천원의 결과를 불러왔네요. 누구에겐 1,300만원이 큰 돈이 아닐 수 있지만, 저는 그래도 기왕 묶어두는거면 좀 더 금리가 높은 상품을 찾아서 가입하고 싶네요ㅎㅎ
청년희망적금이 만기가 되는 2월에는 신협보다 더 금리가 높은 상품이 출시될지도 모르구요. 청년희망적금이 만기가 되면, 제가 가입한 예금 상품이 어떤건지 그 후기로 다시 돌아올게요~~!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카드 해지방법 모바일 어플로 간단하게 (feat. 해지 오류시 해결 방법) (0) | 2024.01.25 |
---|---|
우리은행 신용카드 문자알림서비스 해지하는 방법(월300원씩 청구) (0) | 2024.01.23 |
2024년 기초연금 선정기준 및 금액 알아보기 (0) | 2024.01.02 |
bbq 기프티콘 배달 주문하는 방법 알아봐요 (0) | 2024.01.02 |
매경신문 매경e신문 해지 방법 알아보기 (0) | 2023.12.05 |
댓글